논문
|
2020. Vasorelaxant effects of 50 commonly used traditional herbal prescriptions on isolated rat aortic rings, 40(4), 629-639. (제1저자)
2019. Vasorelaxant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from Valeriana fauriei briquet root and rhizome on rat thoracic aorta, Pharmacogn Mag, 15(60), 59-65. (제1저자)
2019. Vasorelaxant Effect of Prunus mume (Siebold) Siebold & Zucc. Branch through the Endothelium-Dependent Pathway, Molecules, 24(18), 3340.
2019. Endothelium-Dependent Vasorelaxant Effect of Prunus Persica Branch on Isolated Rat Thoracic Aorta, Nutrients, 11(8), 1816. (제1저자)
2018. Vasorelaxant and Hypotensive Effects of Cheonwangbosimdan in SD and SHR Rat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8, 6128604. (제1저자)
2018. Review on the characteristics of liver-pacifying medicinal in relation to the treatment of stroke: from scientific evidence to traditional medical theory, J Tradit Chin Med, 38(1), 139-150.
2018. Prunetin Relaxed Isolated Rat Aortic Rings by Blocking Calcium Channels, Molecules, 23(9), 2372. (제1저자)
2017. Wound Healing Effects of Prunus yedoensis Matsumura Bark in Scalded Rat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7, 7812598.
2017. Vasorelaxant effects of Angelica decursiva root on isolated rat aortic rings, BMC Complement Altern Med, 17(1), 474. (제1저자)
2017. Experimental research of hypotensive and hypolipidemic effects with Modified Sanhuang Xiexin Decoction (加味三??心?), Chin J Integr Med, PMID: 29264840.
2016. Effect of Acer tegmentosum bark on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NC/Nga mice, J Ethnopharmacol, 177, 53-60.
2015. Effect of Ampelopsis Radix on wound healing in scalded rats, BMC Complement Altern Med, 15, 213.
2015. Endothelium-Independent Vasorelaxant Effect of Ligusticum jeholense Root and Rhizoma on Rat Thoracic Aorta, Molecules, 20(6), 10721-10733. (제1저자)
2015. Antihypertensive Effect of the GaMiSamHwangSaSimTang in Spontaneous Hypertensive Rat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5, 802368.
2013. 앵엽(櫻葉) 에탄올 추출물의 혈관이완 효능 및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8(4), 63-69.
|
과제
|
2019-2022. 현호색의 안전성평가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공동)
2019-2021. 고삼속 약용자원을 이용한 당뇨치료제 개발, 한국연구재단. (공동)
2018. 기원종 감별을 위한 한약재 수집 연구 Ⅱ (육두구, 사인, 팔각회향), 식품의약품안전처. (공동)
2017-2020. 한약(생약) 국제표준화 기반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공동)
2017. 위변조 우려 한약재 관리를 위한 품질평가법 개발 연구(목통, 우슬), 식품의약품안전처. (공동)
2016. 한약처방과 양약의 순환기계 관련 비임상 유효성 상호작용 평가, 한의학연구원. (공동)
2015-2017. 생약표준품 제조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공동)
2015-2017. 한약(생약)공정서품질규격개선연구(II), 식품의약품안전처. (공동)
2014-2017. 전통 식약동원 지식의 과학적 인프라 구축 연구,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공동)
2013-2014. 기원종 감별을 위한 한약재 수집 및 관능학적 감별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공동)
|
특허
|
2019. 낭아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출원 10-2019-0000239. (발명자)
2018. 매실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출원 10-2018-0107291. (발명자)
2014. 긴병꽃풀 추출물을 함유한 화상 치료용 외용제 조성물, 출원 10-2014-0193954. (발명자)
2014. 고사리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졸중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등록 10-1478882-0000. (발명자)
2012. 새모래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출원 10-2012-0099835. (발명자)
2012. 노루오줌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출원 10-2012-0015418. (발명자)
|